ESS 열화상 카메라 시스템

[사양]

이미지 성능
화소 160 X 120
기본 시야각 90˚ X 66.4˚/ 50˚ X 37.2˚
감지 타입 3D DNR(Dynamic Noise Reduction)
스펙트럼 영역 8~14.0 um
온도측정 범위
온도측정 범위 -20℃~150℃ / 0℃ ~ 550℃
Thermal Sensitivity/NETD 최대 ± 2°C 또는 ± 2%
이미지 묘사
이미지 모드 열화상/디지털카메라모드/열화상 디지털카메라합성모드
이미지 포맷 동영상 JPEG, MPEG 스트림, H.264
640X480(이미지 스트리밍 분해능)
이미지 속도 열화상카메라: 25fps (640 × 480),
디지털카메라: 25fps (1600 × 1200
기타
방수방진 등급 IP67
무게 / 사이즈 약 335g / 56 × 38.8 × 110 (mm)
부착방식 벽부형

실영상 CCTV 영상

[대형 모터설비, 수배전반 및 변압기등]

  • 산업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, 대형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관리시스템이 도입이 되어 운용되고 있음.
  • 방대한 위험 포인트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나 센서나 정기적인 점검 등의 방법으로만 관리되고 있음.
  • 대부분의 현장에서 화재 발생 이후, 사후 대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.

열화상 영상

[모터의 온도 현재 값 감시]

  • 온도분포분석 기반의 화재감지 및 영상 확인 가능
  •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대상체의 온도 변화 감지 및 영상 표출
  • 화재 발화 전 초기 온도를 미리 감지함으로써, 초기에 화재 감지 가능
  • 지표면 및 지상, 대기공간상 모든 화재 감지 가능
  • 연기투과 감시로 조명 불필요 넓은 영역 감시 가능